728x90
자료의 표현 단위
• 물리적 단위
- 비트 : 컴퓨터가 표현할 수 있는 최소단위
- 니블 (4bit)
- 바이트(8bit)
- 워드(32bit : 32bit 운영체제 기준) : cpu가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 단위
• 논리적 단위
- 필드 : 파일의 최소 구성 단위
고정 길이 필드 | 데이터베이스나 데이터 파일에서 레코드를 구성하는 각 필드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는 것 |
가변 길이 필드 | 데이터베이스나 데이터 파일에서 레코드를 구성하는 각 필드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 |
- 레코드 : 1개 이상의 필드
고정 길이 레코드 | -특정 테이블의 레코드 크기가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한 경우 -레코드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다. |
가변 길이 레코드 | -단어, 문자, 필드 등의 길이가 가변적인 레코드 -레코드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. |
- 파일 : 여러개의 레코드
- 데이터베이스 : 여러개의 파일
정수형 데이터의 표현
• 고정 소수점 표현 방식
- 소수점을 포함하지 않는 정수를 표현
- 고정 소수점 데이터 표현은 대개 2바이트로 구성된 half word와 바이트로 구성된 full word로 표현
• 부호와 절대치 표현법
- 최상위 1비트는 부호 비트로 양수는 0, 음수는 1로 표시한다.
• 1의 보수
-양수의 경우 1의 보수를 취하지 않는다.
-음수의 경우 부호 비트는 제외하고 0은 1로 1은 0으로 바꾼다.
• 2의 보수
-양수의 경우 2의 보수를 취하지 않는다.
-음수의 경우 1의 보수를 취한 상태에서 1을 더해준다.
장점
연산이 빠르다
단점
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가 제한적이다
728x90
'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소리 데이터의 표현 (0) | 2024.03.22 |
---|---|
[자료구조] 이미지 데이터의 표현 (2) | 2024.03.19 |
[자료구조] 부동 소수점 데이터 표현 방식 (2) | 2024.03.19 |
[자료구조] 팩 & 언팩 (0) | 2024.03.15 |
[자료 구조] 자료구조에 대하여 (0) | 2024.03.12 |
댓글